Qna
-
[카타르시스, 배철현의 비극읽기]죽음으로 테베의 정의를 지킨 에테오클레스
- ‘대오’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‘아나그노리시스’(anagnorisis)를 글자 하나하나 풀어 번역하면 ‘우주의 질서와 자신의 임무를 ‘다시 한번’ + ‘깨달아서 아는 마음가짐’(‘아나’ + ‘그노리시스’)이다. 우리는... [염철호 신부의 복음생각] 온유하고 겸손한 삶
- 구약성경의 그리스어 칠십인 역본은 이 “아니”라는 히브리어 단어를 “프라위스”라고 번역하는데, 프라위스는 “친절하고 온유한”이라는 의미를 지닌 형용사입니다. 흥미롭게도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당신의... [류병학의 사진학교 31] 박물관, 호기심의 방?
- 불어로 번역하여 사회연구지(Zeitschrift fur Sozialforschung)에 발표한다. 필자가 생각하기에 앙드레... 따라서 박물관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묘지(mausoleum)와 친족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.... [문화로 쉼표찾기] 페이스 페인팅&캘리그라피
- 경기도평생교육원에 따르면 서예로 번역되기도 하는 캘리그라피(Calligraphy)는 아름다운 서체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로 디자인 콘셉트에 맞는 손글씨를 뜻한다. 전통서예와 디자인의 접목으로 디지털... 깎을까 쌓을까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
- 그리스어로 난쟁이라는 뜻이다.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아주 적절한 이름을 붙였다. 탄소나노튜브와 은나노입자를 번역하면 난쟁이 탄소관, 난쟁이 은입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....
-
박환희 “우리 에클레시아 기도하자”… 에클레시아란?
- 에클레시아(ecclesia)는 그리스어로 에클레시아(κκλεσα)라고 적으며, 밖으로(ek) 불러모으다(caleo)라는 뜻이다. 한글 번역할 땐 ‘교회’라고도 말하며 ‘부르심을 받은 자들’, ‘회중’이란 의미로도 쓰인다. 한편... [전영준 신부의 가톨릭 영성을 찾아서] (37) 9세기 ③ - 위-디오니시우스의 작...
- 에리우게나는 위-디오니시우스의 작품과 동방 교부들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서방 교회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습니다. 즉, 그는 서방 교회에 교부 시대 문화를 소개했으며 그리스어에 대한 관심을... "어.. 어떻게 읽는거야"···'낙서'(?) 같은 러시아어 필기체 해독 영상
- 조 작가는 "러시아가 그리스 정교기 때문에 그리스의 성경은 그리스어로 돼 있다"며 "키릴 형제가 성경을 슬라브어(러시아의 모어)로 번역을 해야 되는데 슬러브어는 당시 말로만 가능했지, 문자는 없었다. 그래서 키릴... 박사모보다 더한 그리스 아버지네의 콩가루 사랑 이야기
- Enas Allos Kosmos는 그리스어로 ?να? ?λλο? Κ?σμο? 또 다른 세계라는 의미이다. 즉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얽혀진 관계 그 이상의 그리스라는 국가가 담은 관계들. 하지만, 그런 설명보다도, 오히려 번역된 '나의 사랑, 그리스... 신학의 문을 여는 철학 키워드 101개
- 요한복음에서 ‘말씀’이란 단어로 번역된 고대 그리스어 ‘로고스(Logos)’는 최상의 질서와 통일성, 합리성의 근거로 사용됐다. 기독교 전통에서 이 개념은 예수 그리스도에게 부여됐다. 사도 요한은 예수님을 창조의...
-
[배철현의 아침묵상] 5. 관찰觀察
- 플라톤은 이런 앎의 단계를 그리스어로 ‘피스티스’(pistis)라고 불렀다. 피스티스는 흔히 ‘믿음’으로 번역된다. 그러나 플라톤은 자신의 두 눈으로 확인한 두 번째 지식인 ‘믿음’도 버려야 한다고 충고한다. 우리는... (김근수) 가난한 예수 86 : 금화의 비유
- 가지로 번역될 수 있다. 돌아올 때까지라는 번역을 나는 선택하겠다. 14절 백성들은 그를 미워하고... 라틴어 땀sudor에서 파생된 그리스어 단어다. soudarion은 시신을 덮는데 사용되었다. (요한 11,44; 20,7) 20절의 종은... [김환영의 종교 이야기①] 예수님과 부처님은 유머ㆍ조크의 달인
- 우리가 읽는 그리스도교의 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문자화된 아람어 구어를 다시 우리말로 번역한 것이다. 영어 성경이건 중국어 성경이건 메시지는 같다. 하지만 느낌은 다르다. 유머는 번역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될... [카타르시스, 배철현의 비극 읽기] 어머니 살해한 오레스테스 통해 ‘복수 너...
- ‘오레스테이아’라는 그리스어를 번역하자면 ‘오레스테스를 위한 노래’다. ‘노래’는 인간이 즐거울 때 부른 흥겨운 가락일수도 있고, 슬플 때 중얼거리는 탄식일 수도 있다. 혹은 어떤 대상이 처한 비극적인 상황에... [시간여행] 바벨론 공중정원 실제 있었을까 '역사 속으로' 속으로
- 공중정원이라는 이름은 '매달려 있는 정원'이라는 기록에서 유래하는데 학자들은 '매달려 있는 정원'이란 이름이 그리스어나 라틴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오역한 탓으로 보고 있다. 공중 정원의 정확한 위치는...